Linux5 Ubuntu 서버 시간대 설정하기 Ubuntu를 포함한 리눅스 서버에서 시간을 설정하는 방법을 검색해보면 여러 방법들이 나온다. 필자는 아래와 같은 방법을 사용한다. /etc/localtime 파일은 시간 정보를 담고있는 설정 파일이다. ls 명령 등으로 해당 파일을 조회해 보면 soft link로 /usr/share/zoneinfo 아래에 있는 특정 파일과 연결되어 있다. 한국 시간(KST)으로 변경하고 싶다면 아래와 같이 /etc/localtime 파일을 서울에 해당하는 파일과 연결하면 된다. $> sudo ln -sf /usr/share/zoneinfo/Asia/Seoul /etc/localtime -s: soft link -f: 이전 링크 삭제 date 명령으로 현재 시간을 확인해보면 서울 시간으로 수정된 것을 볼 수 있다. $>.. 2022. 3. 14. 도메인 네임으로 서비스 접속하기 - 도메인 네임 서버(DNS) 설정 인터넷에서 서버 주소는 예를 들면 www.cnn.com 과 같은 도메인 이름(domain name)으로 더 익숙하다. 도메인 이름은 사실 먼저 등록한 사람이 임자다. 하지만 도메인 이름을 등록하는 과정을 직접 진행하는 것이 번거롭기 때문에 약간의 금액을 도메인 이름 등록 대행 회사에 지불하고 도메인 (등록 대행)을 구입한다. 그러면 구입한 도메인 이름을 이용해서 웹 서비스에 접근하려면 어떻게 해야할까? 기본적으로 웹 서버에는 IP가 할당되어 있어서 이 IP를 가지고 외부에서 접속이 가능하다. 이 웹 서버의 IP와 도메인 이름을 연결해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 도메인 네임 서버(DNS, Domain Name Server)다. 도메인 네임 서버(DNS)들은 인터넷 상에 존재하는 특별한 서버들이다. 이들은 '도메.. 2020. 11. 19.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가격 비교 이전 포스팅 '원격접속 - SSH 사용하기'에서 SSH를 이용해서 원격 Linux 서버에 접속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봤다. 이에 궁금해서 국내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의 가격을 비교해보았다. 요금계산기 등을 통한 대략적인 이용 요금이니 서비스들끼리 비교용으로 참고해 볼 만 하다. 각 서비스 별로 한국 리전(region, 서버 위치)에서 가장 작은 컴퓨팅 인스턴스를 선택하였다. 서비스 가상 CPU 수 메모리 용량(GB) 디스크 용량(GB) 기준 가격(원/월) ※ $1 = 1,150원 계산 AWS 2 1 30 9,665 CAFE24 cloud 1 1 30 4,092 Google cloud 0.25 1 20 13,548 KT cloud 1 1 20 22,500 MS Azure 1 0.75 20 17,000 네이버.. 2020. 10. 25. 원격접속 - SSH 사용하기 클라우드(cloud) 서비스를 개발 환경으로 사용하면 편리한 점들이 몇 가지 있다. 첫 째로 언제 어디서나 네트워크만 연결되어 있으면 코딩, 계산, 신경망 훈련 등 개발을 이어서 할 수 있다. 둘 째 따로 리눅스 컴퓨터를 마련하거나 기존 컴퓨터에 가상머신(virtual machine)을 설치하는 수고를 하지 않아도 된다. 더불어 개발용 컴퓨터를 관리해야 하는 수고도 덜 수 있다. 요즘은 1CPU, 1GB 정도의 가벼운 환경은 월 1만원 또는 $10 이하에 제공하는 서비스들도 많아서 학생이 개인 프로젝트를 진행하기에도 큰 부담이 되지 않는다. 이 밖에도 장점들이 많을 것이다. 필자는 코딩용 컴퓨터로 클라우드 서비스에 리눅스를 설치해서 사용하고, 보통 윈도우 데스크탑이나 노트북으로 연결해서 사용한다. 윈도우.. 2020. 10. 24.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