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Linux

도메인 네임으로 서비스 접속하기 - 도메인 네임 서버(DNS) 설정

by 영바이트 2020. 11. 19.

 

인터넷에서 서버 주소는 예를 들면 www.cnn.com 과 같은 도메인 이름(domain name)으로 더 익숙하다.

 

도메인 이름은 사실 먼저 등록한 사람이 임자다. 하지만 도메인 이름을 등록하는 과정을 직접 진행하는 것이 번거롭기 때문에 약간의 금액을 도메인 이름 등록 대행 회사에 지불하고 도메인 (등록 대행)을 구입한다.

 

그러면 구입한 도메인 이름을 이용해서 웹 서비스에 접근하려면 어떻게 해야할까? 기본적으로 웹 서버에는 IP가 할당되어 있어서 이 IP를 가지고 외부에서 접속이 가능하다. 이 웹 서버의 IP와 도메인 이름을 연결해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 도메인 네임 서버(DNS, Domain Name Server)다.

 

도메인 네임 서버(DNS)들은 인터넷 상에 존재하는 특별한 서버들이다. 이들은 '도메인 이름 → IP' 변환 또는 'IP → 도메인 이름' 변환에 대한 질의(query)를 받고 그 결과를 알려준다. 따라서 구입한 도메인으로 내 서버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DNS에 IP와 도메인 이름을 등록해야 한다.

 


 

DNS에 어떤 내용을 등록하면 될까? 

 

도메인 네임 서버(DNS)들은 도메인 이름과 IP를 매칭(matching)시키는 표를 가지고 있다. 이 표를 도메인 네임 테이블(Domain name table)이라 하고, 표에서 도메인 이름 - IP 쌍에 해당하는 자료들을 레코드(record)라고 부른다. 예를 들면 아래와 같다.

도메인 레코드 타입
www.abc.com A 156.11.203.84
www.abc.com PTR 84.203.11.156.in-addr.arpa

 

도메인 이름 - IP 쌍에 해당하는 자료(=레코드)들은 여러 종류(=타입)들이 있는데 많이 쓰이는 레코드 타입들은 아래와 같다.

레코드 타입 내용
A IPv4로 표현되는 서버의 IP
AAAA IPv6로 표현되는 서버의 IP
PTR Pointer, Reverse DNS(RDNS)라고도 부른다. 도메인 이름 → IP 변환이 아니라, 'IP → 도메인 이름' 변환에 사용된다.
SOA Start Of Authority. 특정 도메인의 관리자, 내용의 갱신 주기(TTL) 등 DNS 동작을 기술한다.

 

도메인 네임 서버(DNS)에 도메인을 등록하기 위해서는 최소 A 타입 레코드와 SOA 두 항목은 등록해주어야 한다. 이 중 SOA 항목은 대부분의 경우 네임 서버가 사용하는 일반적인 설정을 이용해서 자동으로 생성해준다. AAAA 레코드는 IPv6가 아직 널리 쓰이지 않으므로 반드시 사용되지는 않는다.

 

PTR 레코드는 특정 IP의 서버가 실제 도메인 이름을 사용하는 서버인지 확인하기 위해 사용되는데, 메일 서비스 등과 같은 일부 서비스에서만 사용된다. PTR 레코드는 IP → 도메인 이름 변환이기 때문에 실제 값 설정은 IP 주소를 갖고있는 기관에서 수행한다. 만약 설정이 필요하다면 WHOIS 검색을 통해 IP 주소의 소유 기관에 등록을 요청한다.

 


 

DNS에 어떤 항목을 설정하면 된다는 것은 이제 알 것 같다. 그럼 대체 어디에 있는 DNS를 설정하면 될까?

 

도메인 이름 등록 대행 회사들은 도메인 이름을 전문적으로 취급하기 때문에 DNS 서버를 함께 운영한다. 그리고 구입한 도메인 이름을 DNS에 설정할 수 있도록 웹 페이지를 제공한다. 아래는 필자가 사용하는 도메인 등록 대행 서비스의 DNS 설정 화면이다.

 

도메인 등록대행 사이트 - DNS 설정 메뉴

 

DNS 설정을 선택하면 아래와 같이 DNS 레코드의 각 항목을 설정할 수 있다.

 

도메인 등록대행 사이트 - DNS 레코드 관리 메뉴

 

DNS 레코드 관리에서 서브도메인은 일반적으로 www(world wide web)을 우선 설정하지만, 도메인 아래 다른 도메인들도 자유롭게 설정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ail.milktee.kr 등과 같이 메일 서버 운영을 위한 세부 도메인을 둘 수 있다.

 

우선순위(priority) 필드는 두 대 이상의 네임 서버를 운영(사용)할 경우 어떤 서버가 먼저 응답할 것인지 우선 순위를 지정한다. 16bit 값이므로 0 ~ 65535 사이의 값을 지정할 수 있다. 값이 작을수록 우선순위는 높다. 우선순위 값이 같은 서버가 여러대 있을 경우 트래픽이 서버 별로 거의 동일하게 라우팅된다. 사용하는 DNS 서비스에 따라 우선순위 필드는 따로 지정하지 않는 곳도 있다.

 

DNS 레코드가 반영되는 데 까지는 일정 시간이 필요하다 보통 짧게는 5분에서 길게는 24시간 까지 다양한데 DNS의 설정에 따라 다르다. 따라서 DNS 레코드 설정 후 웹에서 설정 내용이 반영될 때 까지 약간 기다릴 필요가 있다.

 


 

DNS는 DNS 서버를 운영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업체, 혹은 ISP(Internet Service Provider) 등 DNS를 운영하는 곳 어디의 DNS를 사용해도 무방하다. 도메인 이름 등록 대행 회사를 통해 DNS를 등록한 경우 기본 DNS가 해당 대행 회사의 DNS로 되어 있으므로 이 외에 다른 DNS를 사용하고 싶다면 먼저 DNS를 변경해야 한다.

 

도메인 등록대행 사이트 - DNS 변경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Ubuntu 서버 시간대 설정하기  (0) 2022.03.14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가격 비교  (0) 2020.10.25
원격접속 - SSH 사용하기  (0) 2020.10.24
X window 시스템  (0) 2020.08.28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