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 포스팅 '원격접속 - SSH 사용하기'에서 SSH를 이용해서 원격 Linux 서버에 접속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봤다.
이에 궁금해서 국내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의 가격을 비교해보았다. 요금계산기 등을 통한 대략적인 이용 요금이니 서비스들끼리 비교용으로 참고해 볼 만 하다.
각 서비스 별로 한국 리전(region, 서버 위치)에서 가장 작은 컴퓨팅 인스턴스를 선택하였다.
서비스 | 가상 CPU 수 | 메모리 용량(GB) | 디스크 용량(GB) | 기준 가격(원/월) ※ $1 = 1,150원 계산 |
AWS | 2 | 1 | 30 | 9,665 |
CAFE24 cloud | 1 | 1 | 30 | 4,092 |
Google cloud | 0.25 | 1 | 20 | 13,548 |
KT cloud | 1 | 1 | 20 | 22,500 |
MS Azure | 1 | 0.75 | 20 | 17,000 |
네이버 클라우드 | 1 | 1 | 50 | 13,000 |
NHN Toast | 1 | 1 | 20 | 8,615 |
SK cloud Z | 1 | 2 | 25 | 30,979 |
가격은 네트워크 트래픽, 공용(public) IP 수 등에 따라 추가적으로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이 부분은 서비스 별로 다 달라서 어떻게 기준을 제시하기가 좀 모호하다.
가격 차이가 좀 있는데, 비싼 서비스일수록 아래 측면에서 편하고 유리한 부분이 있는것 같다.
- 안정성
- 인스턴스 관리 편의성
- 제공하는 API의 다양성: 각종 컴퓨팅, 자원관리 API등
예산, 필요한 컴퓨팅 자원, 그리고 서비스 요금으로 먼저 비교해 보고, 가용한 서비스 별로 안정성, 편의성, API의 다양함 등을 비교하면 괜찮을 것 같다.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Ubuntu 서버 시간대 설정하기 (0) | 2022.03.14 |
---|---|
도메인 네임으로 서비스 접속하기 - 도메인 네임 서버(DNS) 설정 (0) | 2020.11.19 |
원격접속 - SSH 사용하기 (0) | 2020.10.24 |
X window 시스템 (0) | 2020.08.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