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85

3. 웹 프로그램 동작 원리 - 3.1. 예제: Hello Flask 파이썬 플라스크 패키지를 이용해서 가장 간단한 웹 서버를 만들어보고 동작 원리를 살펴보자. 이전 포스팅 '2.2.프로젝트 생성'에서 01_hello_flask 디렉토리까지 생성하였다. 이제 아래와 같이 파이썬 스크립트(script) 파일을 하나 생성하자. 파일 이름을 hello_flask.py로 지정했다. 보통 첫 예제는 hello로 시작하니까 가장 간단한 내용으로 구성될거라(하지만 중요하다) 예상할 수 있다. 생성한 파일 hello_flask.py에 아래 내용을 입력한다. from flask import Flask app = Flask(__name__) @app.route("/") def hello(): return "Hello Flask" if __name__ == "__main__": app.run.. 2020. 8. 14.
2. 프로그래밍 환경 - 2.2. 프로젝트 생성 파이참(Pycharm)을 처음 사용하는 분이 계실것 같다. 프로젝트 생성 방법과 가상실행환경(virtual environment)에 대해 먼저 살펴보면 도움이 될 것 같다. 파이참을 설치하고 실행시키면 아래 그림과 같이 프로젝트 생성 화면이 표시된다. 시작화면 → Create New Project를 선택한다. 아래와 같이 프로젝트 설정화면이 나타날것이다. 만약 Location 필드 아래 메뉴가 보이지 않는다면 ▶ 기호를 클릭하면 세부 메뉴가 나타난다. 설정할 것은 프로젝트 파일들이 저장되는 위치인 Location 밖에 없다. 파이썬과 플라스크로 웹 프로그래밍을 할 것이므로 WebPythonFlask라고 이름을 입력하였다. 원하는 다른 이름이 있다면 그것으로 정해도 좋다. 프로젝트 위치(Location) .. 2020. 8. 13.
2. 프로그래밍 환경 - 2.1. Pycharm '1. 웹 프로그래밍'편에서 웹 프로그래밍의 개념과 플라스크 프레임워크의 역할에 대해 살펴보았다. 실제 프로그래밍을 해보면 뜬구름 같았던 개념도 좀 더 명확해진다. 사용할 프로그래밍 언어가 파이썬(Python)이므로 파이썬 번역기(interpreter)를 먼저 설치한다. 아래 위치로 들어가면 파이썬 번역기를 다운로드할 수 있다. https://www.python.org/downloads/ 이 글을 보는 독자분들 대부분 Windows 혹은 Mac에서 프로그래밍을 할 것이다. 개발 환경 중 파이참(Pycharm)이 잘 만들어져 있다. 아래 주소로 접근해서 사용하는 Windows/Mac 사용하는 운영체제 맞는 파이참을 다운로드해서 사용한다. www.jetbrains.com/ko-kr/pycharm/ 주소로 들.. 2020. 8. 12.
1. 웹 프로그래밍 - 1.2. Flask 소개 클라이언트(client, 모바일 폰, 데스크탑 PC 등)와 서버(server, 블로그, 유튜브 등)가 HTTP 규약을 이용해 데이터를 주고 받는 클라이언트-서버 모델에 대해 '1.1. 웹 서비스 이해'에서 간략히 살펴보았다. 클라이언트는 웹 브라우저에 주소(URL)을 입력하기도 하고 페이지의 버튼을 클릭하기도 하면서 서버에 요청들을 보낸다. 서버는 어떻게 요청들에 응답(response)할까? 서버는 24시간 때를 가리지 않고 수 많은 클라이언트들로부터 서비스 제공 요청을 받는다.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자동으로 응답하는 것이다. 앞의 글에서 웹 브라우저의 디버그(debug) 모드를 통해 HTTP 헤더와 바디의 내용을 살펴보았다. 만약 프로그래머가 이 복잡한 내용들을 일일히 만들어야 한다.. 2020. 8. 11.
1.웹 프로그래밍 - 1.1. 웹 서비스 이해 웹 프로그래밍의 큰 그림을 먼저 알고 프로그래밍을 시작 하는것이 좋다. 내가 지금 무얼 왜 하고 있는지 알 수 있기 때문이다. 모바일 혹은 데스크탑에서 앱 또는 브라우저로 받는 모든 서비스들이 웹 서비스에 포함된다. 웹 서비스를 이해하는데 가장 도움이 되는 모델이 클라이언트(client)-서버(server) 모델(=서버-클라이언트 모델)이다. 예를 들면, 클라이언트는 사용자의 휴대전화, 데스크탑 등이고 서버는 지금 이 블로그 정보를 보관하고 있다가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티스토리 서버(=컴퓨터)라고 할 수 있다. 웹 프로그래밍을 한다는 것은 기본적으로 서버에 정보를 저장하고 저장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기능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을 만드는 작업이다. 그림의 요청과 응답의 예를 좀 더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2020. 8.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