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elete2

[SQL 이해하기] - 17. SQL: DML과 DDL 앞서 [SQL 이해하기] 포스팅 8 부터 16까지 9개 포스팅에서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를 꺼내는 SELECT 구문에 대해 살펴보았다. 일반적으로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원하는 목적에 맞게 꺼내는(읽는) 작업이 훨씬 더 자주 일어나기 때문에 SQL을 공부한다고 하면 SELECT 구문을 중심으로 공부하게 된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데이터를 생성하고, 수정하고, 삭제하는 DML(Data Manipulation Language)과 테이블을 생성, 수정, 삭제하는 DDL(Data Description Language)에 대해 정리해보도록 하겠다. SELECT 구문이 DML에 포함되는지에 대해서는 원칙이 없는 것으로 알고 있다. 읽는 행위가 데이터를 변경(Manipulation)시키지는 않기 때문이다. DML이라고.. 2023. 7. 8.
[데이터 모델과 SQL] 17. 정보 삭제 - DELETE 테이블에서 행들을 삭제할 때는 DELETE 명령을 사용한다. 문법: DELETE FROM [WHERE 검색 조건] DELETE 명령에서 WHERE 조건절을 지정하지 않으면 테이블의 모든 행을 삭제한다. 거의 모든 경우 WHERE 조건 절이 알맞게 지정되었는지 먼저 SELECT 명령을 사용하여 살펴보는 것을 추천한다. 예) 모든 볼링 플레이어 데이터를 삭제한다. DELETE FROM bowlers; DELETE 명령으로 데이터를 삭제할 때 다른 테이블에 연결된 데이터가 존재할 경우 삭제가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데이터를 삭제할 때 아래 두 가지 중 하나의 규칙이 적용된다. · restrict deletion rule(삭제 제한, R): 만약 다른 테이블에 삭제 대상과 연결된 데이터가 존재한다면 삭제 대.. 2023. 2.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