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ERE 조건절2 [데이터 모델과 SQL] 5. 검색 조건 지정하기 - 2/2 이전 포스팅에서 검색 조건 구성을 위한 아래와 같은 기본적인 방법들에 대해 알아보았다. · WHERE 구문의 기본 구조 · 검색 조건: 비교 · 검색 조건: 범위(range) · 검색조건: 소속(membership) · 검색조건: 패턴(pattern match) · 검색조건: 데이터 없음(Null) · 여러 검색 조건 결합하기 2023.01.02 - [데이터 모델과 SQL] - [데이터 모델과 SQL] 5. 검색 조건 지정하기 - 1/2 [데이터 모델과 SQL] 5. 검색 조건 지정하기 - 1/2 앞서 SELECT 요청식의 기본적인 문법에 대해 살펴보았다. 앞에서 살펴본 요청식에서는 따로 검색 조건을 지정하지 않고 테이블의 모든 데이터를 가져오도록 하였다. 하지만 실무에서는 거의 모든 youngbyte... 2023. 1. 2. [데이터 모델과 SQL] 5. 검색 조건 지정하기 - 1/2 앞서 SELECT 요청식의 기본적인 문법에 대해 살펴보았다. 앞에서 살펴본 요청식에서는 따로 검색 조건을 지정하지 않고 테이블의 모든 데이터를 가져오도록 하였다. 하지만 실무에서는 거의 모든 경우 특정 조건에 맞는 내용 만을 찾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검색 조건을 지정하는 방법에 대해 살펴보자. 검색 조건을 지정하기 위해서 WHERE 구문이 사용된다. WHERE 구문은 SELECT 결과 안에서 조건에 맞는 결과를 골라낸다. 이렇게 특정 조건을 지정하고 해당 조건에 만족하는 데이터들을 골라내는 동작을 하기 때문에 WHERE 구문을 일반적으로 필터링filtering이라고 부른다. ● WHERE 구문 WHERE 구문은 SELECT 명령과 함께 사용된다. - 기본 구조 SELECT FROM WHERE WHERE .. 2023. 1. 2.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