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델뷰로직2 2. MVC: 모델/폼 - 뷰 - 로직(컨트롤) 본격적으로 웹 서비스 프로젝트를 시작하기 앞서 도움될 만한 개념을 하나 살펴보자. 막상 웹 서비스를 하나 만들어야지 생각하더라도 어디서 부터 시작해야 할 지 막막하다. 이럴 때 '모델-뷰-로직(또는 컨트롤)' 개념을 알고 있으면 어디서 부터 시작해야 할 지 알 수 있다. 모델-뷰-로직(컨트롤)을 각 요소의 앞 글자를 따서 MVC라고 부른다. 웹 페이지가 보여주는 것은 서버에 접속한 사람이 요청한 '데이터'다. 예를 들어 방송사 웹 페이지에 접속해서 그 날의 편성표를 찾아본다고 하면 방송사 웹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해당 날짜의 프로그램 정보가 웹 페이지를 통해 보여진다. 여기서 프로그램 정보를 '모델(model)'이라고 할 수 있고, 이를 보여주는 페이지를 '뷰(view)'라고 한다. 정보는 어떤 체계를 .. 2020. 9. 14. 5. 입력 처리 - 5.2. Flask WTF를 이용한 입력처리 클라이언트(사용자)로 부터 데이터를 받기 위해 폼(form)이라는 요소를 사용한다. 폼이라는 말이 생소하게 들릴수도 있겠지만 사실 일상 생활에서도 적지 않게 쓰인다. 예를 들어 관공서를 방문해서 민원 신청을 위해 제출하는 서류들을 '○○폼', '□□폼' 이라고 지칭하기도 한다. 결국 어떤 형식(format)에 맞게 빈칸을 채우라는 의미다. 웹 페이지의 폼 요소도 다르지 않다. 입력받을 데이터에 맞는 형식을 정의하고 해당 형식에 맞게 사용자에게 데이터 입력을 요청하게된다. 폼을 다루는 대표적인 파이썬 패키지인 Flask-WTF(What The Form)를 사용해서 사용자 입력을 받아보자. 폼을 다루기 위해서는 아래의 세 가지 요소를 고려해야 한다. ① 입력 형식 정의: 모델(model)/폼 ② 사용자에게 .. 2020. 8. 20.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