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킹
CIDR - Classless Inter-Domain Routing
영바이트
2021. 3. 14. 19:28
CIDR(Classless Inter-Domain Routing)은 사설네트워크(Private network)에서 IP주소를 묶는 방식이다. IPV4 주소의 개수가 부족하기 때문에 사설네트워크의 게이트웨이(Gateway, G/W)에 대표로 공용 IP를 하나만 할당하고 다른 컴퓨터들은 이 G/W 컴퓨터에 연결해서 외부 네트워크에 연결한다.
아래 그림과 같이 254개(0=네트워크 자체, 255=Broadcast IP 제외)의 컴퓨터로 사설망을 만들었다면 그 네트워크를 192.168.10.0/28과 같이 'Network 주소/Network 주소 bit 수'로 묶어서 표현하는 것이 CIDR이다.
게이트웨이는 예를 들면 반장이나 과대표 같은 역할을 한다. 사설망의 컴퓨터들이 대표를 통해 외부에 데이터를 요청하고 또 데이터를 받을 수 있다. 사설망과 공공망을 이어준다는 의미에서 게이트웨이를 NAT(Network Address Translator)라고 부르기도 한다.
아래 그림과 같이 계층구조의 사설망도 가능하다. 즉 사설망 아래에 또 다시 사설망을 만들 수 있다.
IPV4주소 체계의 고유한 주소는 오래전 부터 많이 부족했었지만 사설망 개념을 활용해서 지금까지 어려움 없이 사용하고 있다. 아래 사이트를 참조하면 CIDR 주소를 만들고 사설망의 크기를 쉽게 계산할 수 있다.
■